전기안전기술사기출빈도분석학습법14 [전기안전기술사 합격하기] [문제60] 정전작업 시작전 안전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Reference : 신들의 정원 – 강화풀밭농원 (최진만 기술사) [문제60] 정전작업 시작전 안전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정전작업 시작전 안전사항에 관하여는 여러 가지 형태의 분류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① 현장만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경우1. 작업전 교육2. 개폐기 조작3. 단락접지 및 잔유전하 방전4. 검전5. 각종 안전표지물의 설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② 작업전의 계획단계부터 분류하는 경우1. 작업책임자의 임명2. 작업계획 수립 및 현장답사3. 관계부서협의 (급전사령 및 설비운영부서)4. 각종 안전표지물, 개인 안전장구 및 보호구의 점검5. 작업전 교육6. 작업전 확인사항(개폐기조작,검전․ 접지,잔유전하방전 등) ※ ①번 분류방법에서 문제점이라고 생각되는 것은 2항 이후의 과정은 작업전 단계.. 2025. 3. 15. [전기안전기술사 합격하기] [문제61] 휴전작업에 사용하는 안전장구 및 표지의 종류와 용도를 각각 설명하시오 Reference : 신들의 정원 – 강화풀밭농원 (최진만 기술사) [문제61] 휴전작업에 사용하는 안전장구 및 표지의 종류와 용도를 각각 설명하시오 1. 활선접근 경보기 충전된 기기나 전선로에 근접하면 접근위험을 경고하는 장치이다. 활선작업중에 사용해서는 않되며 선로의 차단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검전기로 대신하여서는 안된다. 2. 검전기 정전작업을 위한 전선로의 차단후 ,선로의 충전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모든 작업전에는 반드시 검전기로 확인후 작업에 임한다. 3. 각종 접지용구 휴전작업시 주변의 건전회선으로 부터 유도되는 전기나 개폐장치의 오조작 등으로 인한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장소의 양단 전선로에 단락접지를 실시하기 위한 용구이다. 4. “휴전작업중” 표지위험구역과 작업구역을 명시하.. 2025. 3. 6. [전기안전기술사 합격하기] [문제58] 아크용접시 발생할수 있는 인체상해의 종류(감전사고 제외)를 들고 이를 방지할수 있는 보호구에 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 감전사고 예외한 인체상해의 내용인데 이미지는 찾을수 없어서 그냥 감전사고 관련으로 이미지 올렸습니다. 죄송합니다 [문제58] 아크용접시 발생할수 있는 인체상해의 종류(감전사고 제외)를 들고 이를 방지할수 있는 보호구에 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1. 인체상해의 종류(감전재해 제외) 아크용접작업시 감전사고를 제외한 인체의 상해로는 강열한 아크와 자외선 발생으로 인한 눈의 시력장애와 자외선이나 용융금속의 비산으로 인한 피부화상, 용접시 발생하는 흄가스로 인한 폐부질환등이 대부분이다. ※ 본 해설에서는 용접작업시 발생하는 아크로 인한 각종 상해만을 언급했으나 실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해로는 작업장소에 따라 고소작업을 하는 경우 추락상해가 가장 일반적으로 고려될수 있는 중요한 상해중 하나라는 것이다... 2025. 3. 3. [전기안전기술사 합격하기] 2025년 전기안전기술사 Mind Map 학습법 자료 모음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안전기술사에 대해서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하고자 할때에 유용한 학습법으로 사용되는 마인드 맵을 작성한 자료들을 모아서 올려보고자 한다. 여러가지 학습법을 찾아보고 실제로 사용도 해보았는데 이러한 도형화시켜서 학습하는 방법이 매우 도움이 되었던 경험이 있다. 여러가지로 많은 자료들을 이제는 나도 자체적으로 작성해보았으면 하는 바램이다.Reference : 신들의 정원 강화풀밭농원 웹사이트 [ 전기안전 기본구조 ] [ 인체 감전 ] [ 불안전 행동 관련 ] [ 안전교육 ] [ 안전관련 각종계수 ] Reference : 신들의 정원 – 강화풀밭농원 (최진만 기술사) 도시, 주택개발, 건축, 인테리어 설계, 시공 문의 b-studio@hanmail.net 이나 010-9162.. 2025. 2. 2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