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안전기술사기출문제분석3 [전기안전기술사 합격하기] [문제53] 감전쇼크시 실시하는 인공호흡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여기서 싣는 글은 신들의 정원 – 강화풀밭농원 (최진만 기술사)에게서 가져왔음을 알린다. [문제53] 감전쇼크시 실시하는 인공호흡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인간이 내쉬는 숨에도 16%의 산소가 들어있기 때문에 호흡정지 환자의 폐에 넣어주는 인공호흡에 사용할 수 있다. 인공호흡법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호흡은 없으나 맥박은 있는 환자는 우선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구조대가 도착하거나 환자 스스로 호흡이 돌아올 때까지 분당 10회의 인공호흡을 실시하며 지속적으로 맥박을 확인한다. 환자의 호흡과 맥박이 없을 때는 먼저 구조요청을 하고 인공호흡과 심장마사지를 겸용하여 시작한다. 1. 구강대 구강 인공호흡법 환자가 똑바로 누워있는 상태에서 구강내 의치 등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엄지와 검지로 환자의 코을 꽉 막.. 2022. 4. 21. [전기안전기술사 합격하기] [문제52] 감전사고가 발생한 후 인공호흡에 의한 시간 경과별 소생율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여기서 싣는 글은 신들의 정원 – 강화풀밭농원 (최진만 기술사)에게서 가져왔음을 알린다. [문제52] 감전사고가 발생한 후 인공호흡에 의한 시간 경과별 소생율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감전사고 발생시 호흡이 정지된 경우 호흡이 정지된 후 1분이내 인공호흡을 실시하여 주면 소생률이 95% 정도이나 3분이내에는 75%, 4분이내이면 소생률은 50%, 6분이내이면 25%정도로 크게 떨어진다. 그러므로 피해자의 호흡이 정지되어 있으면 심장기능이 정지되기 전에 신속히 인공호흡을 시켜 생명을 소생시켜 주어야 한다. 피해자의 호흡과 맥박이 소생되면 지체없이 병원으로 운반하여 의사의 진료를 받게 한다. 인공호흡은 매분 12~15회로 30분이상 실시한다. [참고] 방호조치와 방호장치의 차이점은 ○ 방호조치 위험기계, 기구의 .. 2022. 4. 11. [전기안전기술사 합격하기] [문제51] 감전사고 발생시의 응급조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여기서 싣는 글은 신들의 정원 – 강화풀밭농원 (최진만 기술사)에게서 가져왔음을 알린다. [문제51] 감전사고 발생시의 응급조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8. 감전재해자가 발생시 안전조치에 관하여 기술하시오(10점) 97. 작업자가 작업중 감전되어 의식혼수상태일 때 취하여야 할 조치를 순서대로 쓰시오.(10) 91. 전기감전사고시 응급 조치에 대하여 기술하시오.(25점) 98년도 기출문제에서 “안전조치”라는 개념이 필자는 약간 애매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25점짜리면 정답의 범위가 “감전재해자를 우선 현장에서 구출후⇨ 현장을 안전하게 조치하고 ⇨ 재해자를 응급조치”하는 범위라고 보지만 10점짜리인 경우 현장조치까지를 의미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에서 그렇다. 본 답안에서는 그래도 25점짜리를 기준으로 .. 2022. 4.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