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사부서별 실무서식

2025년 연말정산 기간, 미리보기, 간소화자료, 서류제출 방법~ 핵심 총정리

by 아마추어 건축가 2025. 1. 27.

 

 

 

2025 연말정산 기간, 언제 뭘 어떻게 해야 되는지 막막하다면?

 

2025년 연말정산기간 간소화재료 서류제출방법 미리보기

 

이미 2024년의 마지막 달인 12월을 보낸지가 훌쩍 지나버렸는데 벌써 늦어버렸다고 생각이 드는 준비해야 할 게 있다. 바로 연말정산 준비. 벌써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시작으로 연말정산을 준비하는 분들도 계실 테고, 언제 어떤 걸 해야 하는지도 몰라 괜히 발허둥지둥 하는 분들도 있을 거다. 그래서 연말정산 정리해 봤다. 2025 연말정산 기간.

 

 

2025_연말정산_기간 & 미리보기 & 간소화자료 & 서류_제출 방법

 

 

 

아무리 급하다해도 가장 먼저 연말정산을 왜 하는지부터 알아 보자.

 

​근로자라면 매달 급여에서 근로소득세를 납부하는데, 이때 억지로 납부하는 근로소득세는 정확하게 정해진 금액의 세금이 아니다. 단지 '급여수준'과 '공제 대상 가족수'에 대해서만 감안해서 어림짐작으로 떼이는 세금이다.

 

​이렇게 미리 납부한 세금과 실제 연간 소득과 공제 항목을 반영해 납부해야 할 세액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차이를 연말에 정산해 정확한 세금을 계산하는 과정이 바로, 연말정산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말정산을 하게 되었을 때 잘못하면 오히려 세금을 더 내게 되는 경우도 생길 수도 있다.​

 

 

 

2025 연말정산 기간 일정 정리

1) 간소화 자료 일괄 제공 신청: ’24. 12월 초~1.19

기존에는 근로자가 직접 홈택스로 접속해서 간소화 자료를 발급받아 회사에 제출해야 했는데, 이제는 근로자가 일괄 제공에 동의하는 버튼에 클릭하면 근로자의 간소화 PDF 자료를 회사에서 일괄적으로 다운받을 수 있어서 편리하게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매년 홈택스에 접속해 동의해야 하는 건 아니고, 동일한 회사에 계속 근무하고 있다면 최초 1회만 홈택스에서 확인(동의) 하게 되면 반복해서 동의를 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회사를 이직해 다른 곳에서 근무한다면 다시 홈택스에서 동의 해야 한다. 그러므로 신입 직원, 이직자 분들은 1월 19일까지 홈택스에 접속해 간소화 자료 일괄 제공을 신청하기를 바란다.

 

​간소화 자료 일괄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회사는 기존 연말정산 방식으로, 근로자가 PDF를 다운받아 회사에 제출하는 식으로 신고할 수도 있으니 미리 회사에 확인을 해봐야 한다.

 

 

 

2) 연간 근로소득 확정: ~’25.1.14

한 해 동안의 근로소득 총액을 집계해, 해당 금액을 바탕으로 전체 소득을 계산하게 된다. 연중에 신고되지 않은 근로소득이 존재 한다면, 이를 추가로 반영해 최종적인 근로소득 총액이 확정된다.

 

 

3)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오픈: ‘25.1.15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신용카드 등 각 해당 사용액, 그리고 기부금 등 연말정산 공제 자료를 확인가능 하다.

 

​참고로 간소화 서비스가 시작되고 일주일 정도는 업데이트가 계속 이뤄지므로, 일주일 후에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4) 연말 정산 자료 제출 및 검토: ’25.1.20 ~ 2월 중순

간소화 서비스에서 확인한 소득/세액 공제 자료와 함께, 공제받는 데 필요한 별도의 서류(기부금 영수증 등)가 있다면 함께 취합해서 회사에 제출해야 한다.

 

​이렇게 근로자 개인들이 회사에 추가 서류까지 제출하게 되면 회사에서는 회사 구성원이 제출한 서류가 공제 요건에 맞는지 확인하고, 서류 및 자료 보완이 필요하면 서류 제출한 해당직원에게 보완사항을 전달해 준게된다.

 

간소화 서비스에서 조회되지 않는 자료들이 무엇일까?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는 정해진 시기에 영수증 발급기관에서 제출한 자료를 그대로 조회, 제공하고 있다.

 

​그렇게 때문에, 영수증을 발급한 곳에서 국세청에 자료 제출하지 않을 시 조회되지 않는 관계로, 근로자가 직접 증빙 자료( 영수증 등)를 발급받아 회사에 제출해야 된다.

 

​다만, 누락되기 쉬운 의료비의 경우, '조회되지 않는 의료비 신고센터'를 활용하면 편리한데, 그 해당 내용을 신고하면 국세청이 의료기관에 누락 자료를 제출용청을 하게끔 안내를 하게 된다..​

 

 

5) 연말정산 완료 및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25.2.28

회사는 근로자가 제출한 소득/세액 공제 신고 내용을 반영해 세액을 계산하고, 이 내용을 급여에 반영히개 된다. 그 후에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 각 회사 구성원에게 발급해 주게 된다.

 

 

6) 원천징수이행상황 신고 및 지급명세서 제출: ~ ‘25.3.10

각 근로자의 2025년 2월 급여 지급분과 2024년 연말정산을 포함한 원천징수이행상황 신고서를 국세청에 제출하게 된다 (회사→국세청) 이렇게 하면 모든 연말정산의 과정이 끝나게 된다.

 

 

2025 연말정산 기간, 이제는 조금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연말정산은 회사에 간소화 자료 제출하면 끝나는 게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연말정산 각 과정마다 신경을 쓰게 되면 최대한의 공제를 적용해 환급받는 기간에 더 많은 환급금을 돌려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각 공제 항목별로 필요한 서류를 빠짐없이 준비하시고, 기한을 놓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본 내용은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정리를 해놓은 것이니 이 콘텐츠만을 가지고 연말정산에 대해서 접근하기보다는 자신이 다니고 있는 회사의 재무담당 관리자와 의논을 하시기를 바란다..

 

 

작성자 :  건축가 주원태 

 

 

주원태

부천대학교 건축과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홍익대학원 도시계획을 수학 하였다. 서인건축, 삼우설계등에서 실무를 거치고 건축시공이나 인테리어 설계까지 경험하였다. 부동산개발도 접근을 함으로써 28년차 건축가 활동으로 국한된 건축이 아니라 다방면에 관심을 가졌고 2020년부터는 동생 소설가 주원규와 함께 문화 및 컨텐츠, 건축프로젝트그룹인 스토리원(Story one)을 설립하고 지금까지 건축, 인테리어와 더불어 소설, 영화, 드라마 및 IP분야까지 폭넓게 활동해오고 있다. 저서로는 [수인의 건축] [집과 연필, 비례이거나 반비례거나]등이 있다.
설계 및 시공, 부동산개발 문의 bstudio012@gmail.net 이나 010-9162-6135(문자요망)
스토리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www.story-one.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