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건축디자인정보수록

[무료 교회성전건축 가이드북] 한국 교회건축의 역사적 흐름: 시각적 여정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아마추어 건축가 2023. 3. 19.

 

 

한국 교회건축의 역사적 흐름: 시각적 여정

 

건축가 주원태의 건축철학을 알기 원하시면 이곳을 클릭해주세요.  
건축가 주원태  바로가기 ->  http://www.story-one.co.kr/archiju/index.html

 

The Historical Flow of Church Architecture in Korea: A Visual Journey

 

 

출처 : The Architectural Review

 

 

 

소개

한국 교회 건축은 한국의 전통적인 디자인 요소와 서양 건축 양식이 매혹적인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18세기 말 한국에 기독교가 처음 들어온 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교회의 설계는 상당한 발전을 거듭해 왔다. 이 기사는 한국 교회 건축의 역사적 흐름을 통해 시각적인 여정을 안내합니다.

 

 

본론

한국 최초의 기독교 건물은 전통적인 한국 건축의 전형인 초가 지붕이 있는 단순한 목조 건축물이었습니다. 이 초기 교회들은 종종 기독교를 기성 질서에 대한 위협으로 보는 당국의 눈에 띄지 않는 외딴 곳에 세워졌습니다.

 

 

19세기 후반 서양 선교사들이 들어오면서 한국 교회 건축은 서양 양식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한국 최초의 서양식 교회는 1897년에 건립된 전주 대한개신교 교회다. 이 교회는 한국 전통 한옥 건축과 유사한 박공지붕에 단순한 직사각형 모양이 특징이었다.

 

 

20세기 초, 한국의 건축가들은 한국의 전통적인 디자인 요소와 서양식을 혼합하여 보다 절충적인 스타일을 실험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의 전통 기와와 로마네스크 양식과 고딕 양식의 건축 양식이 혼합된 서울의 명동성당과 같은 독특한 건축물이 탄생했습니다.

 

 

20세기 초 일제 강점기에 교회 건축은 일제 당국의 선전 도구로 사용됐다. 교회는 높은 첨탑과 당당한 외관을 갖춘 장대한 양식으로 지어져 한국인들에게 식민 정권의 권력과 권위를 심어주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 이후 한국 교회 건축은 큰 변화를 겪었다. 건축가들은 한국에서 성장하는 기독교 공동체의 요구를 반영하여 보다 기능적이고 실용적인 건물을 만드는 데 집중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한국 전통 건축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으며 한국의 많은 현대 교회는 이제 곡선 지붕, 나무 기둥 및 복잡한 패턴과 같은 한국 전통 디자인 요소를 통합합니다.

 

 

결론

한국 교회 건축의 역사적 흐름은 한국의 전통적인 디자인 요소와 서양 건축 양식의 독특한 조화를 반영합니다. 초기 한국 교회의 단순한 목조 구조에서 일제 강점기의 웅장한 건축물과 오늘날의 기능적이고 현대적인 교회에 이르기까지 한국 교회 건축은 변화하는 한국 기독교 공동체의 요구와 취향을 반영하여 발전해 왔습니다. 건축, 역사, 종교에 관심이 있든 한국 교회 건축의 다양성과 아름다움을 탐구하는 것은 가치 있는 여정입니다.

 

Introduction

Korean church architecture is a fascinating blend of traditional Korean design elements and Western architectural styles. From the first arrival of Christianity in Korea in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present day, the design of Korean churches has undergone a significant evolution. This article will take you on a visual journey through the historical flow of church architecture in Korea.

 

Body

The earliest Christian buildings in Korea were simple wooden structures with thatched roofs, which were typical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These early churches were often built in secluded locations, away from the prying eyes of the authorities, who viewed Christianity as a threat to the established order.

 

With the arrival of Western missionaries in the late 19th century, Korean church architecture began to adopt Western styles. The first Western-style church in Korea was the Protestant Church of Korea in Jeonju, which was built in 1897. This church featured a simple rectangular shape with a gabled roof, similar to the traditional Korean hanok architec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architects began to experiment with a more eclectic style, blending traditional Korean design elements with Western styles. This led to the creation of unique structures such as the Myeong-dong Cathedral in Seoul, which features a blend of Romanesque and Gothic architectural styles with traditional Korean roof til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church architecture was used as a tool of propaganda by the Japanese authorities. Churches were built in a grandiose style, with tall spires and imposing facades, to impress the Korean population with the power and authority of the colonial regime.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and the Korean War, Korean church architecture underwent a significant shift. Architects began to focus on creating buildings that were more functional and practical, reflecting the needs of the growing Christian community in Korea.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resurgence of interest in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many modern churches in Korea now incorporate traditional Korean design elements such as curved roofs, wooden beams, and intricate patterns.

 

Conclusion

The historical flow of church architecture in Korea reflects the unique blend of traditional Korean design elements and Western architectural styles. From the simple wooden structures of the early Korean churches to the grandiose structure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modern, functional churches of the present day, Korean church architecture has evolved to reflect the changing needs and tastes of the Korean Christian community. Whether you are interested in architecture, history, or religion, exploring the diversity and beauty of Korean church architecture is a journey well worth taking.

 

건축가 주원태의 건축철학을 알기 원하시면 이곳을 클릭해주세요.  
건축가 주원태  바로가기 ->  http://www.story-one.co.kr/archiju/index.html

 

<교회건축설계가이드북 소개>

소개글

교회 건축을 원하시는 분들에게 교회건축을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자세하게 안내해드리는 내용의 문서입니다.
많이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면 합니다. 실제 본인이 만든 결과물입니다

목차

1.머리말

2.일반적 교회 건축절차 

3.계획관리지역에서 교회건축 

4.농지에서 교회건축

5.임야에서 교회건축 

6.가설건축물로서의 교회건축 

7.용도변경으로서의 교회건축 

8.국내외 교회샘플(코드명시) 

 

본문내용

땅의 실질적 용도에 따른 분류
1. 주거용 - 단독, 연립, 다세대 주택, 아파트 용지 및 주거용 나대지
2. 상업업무용 - 상업용지 : 상가, 시장, 서비스업
              - 업무용지 : 은행, 사무실
3. 주상복합용 - 주상복합용지 및 나지
4. 공업용 - 공업용지 및 나지
5. 농업용 - 전, 답, 과수원 등
6. 임업용 - 조림, 자연림, 토지임야, 목장용지 등
7. 특수용 - 광천지, 광업용지, 염전, 유원지, 공원지, 골프장, 스키장, 경마장
8. 공공용지 - 도로, 하천, 공원, 운동장, 주차장, 변전소, 송전탑, 송유관, 유해혐오시설

이용상태에 따른 땅의 종류
1. 대   지 : 건물이 있거나 택지로 이용될 땅  
2. 택   지 : 주택이 있거나 주택용지로 활용될 땅
3. 건부지 : 건물의 부지로 이용되는 땅
4. 나  지 : 건물이 없는 땅, 나대지라고도 함
5. 부  지 : 건물의 바닥과 건물에 부수되는 땅
6. 공  지 : 대지 중 건물바닥의 땅을 제외한 땅
7. 필  지 : 지번이 부여되는(된) 땅, 거래의 단위
8. 획  지 : 일정한 계획에 의하여 구분된 땅
9. 소  지 : 생산용으로 활용되는 땅(농지, 임야)
10. 맹  지 : 도로가 없는 땅
11. 용  지 : 도로.주택공사에서 택지나 상가용으로 공급되는 땅
12. 선하지 : 고압전선 밑에 있는 땅
13. 법  지 : 경계면의 땅
14. 포락지 : 하천, 계곡 무너져 흐른 땅
15. 빈  지 : 바다와 육지 사이의 땅(소유권 불인정)
16. 후보지 : 농지 등이 다른용도로 전환되는 땅
17. 미불지 : 정부 수용 했는 보상 안된 땅(미불용지)
18. 공개용지 : 건축할 땅의 일부를 조경이나 공원, 공터 등으로 남겨준 땅

 

본 인터넷서적에 관심이 있으신분은 다음 계좌로 15,000원 보내주시고 문자(010-9162-6135)로 입금확인을 해주시고 이메일주소 알려주시면 바로 보내드리겟습니다

 

신한은행 110-523-657651  스토리원(주원규)   비용 15,000원

 

 

교회건축, 인테리어 설계, 시공 문의 b-studio@hanmail.net 이나 010-9162-6135로 문자요망  

현재 (주)여울 종합건축사사무소와 컨소시엄 작업수행중
건축 문화 프로젝트그룹 STORY ONE에서 작업중,  27년차 건축가 주원태
홍익대학원 도시계획과 석사과정 
(주)아임종합건설회사 CM사업부이사 재직중  
서울 중구 동서말씀교회 집사
저서로는 [수인의 건축]  [집과 연필, 비례이거나 반비례거나]등이 있다.

건축가 주원태의 건축철학을 알기 원하시면 이곳을 클릭해주세요.  
건축가 주원태  바로가기 ->  http://www.story-one.co.kr/archiju/index.html


스토리원홈페이지 http://www.story-one.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