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 신들의 정원 – 강화풀밭농원 (최진만 기술사)
[문제62] 고압 활선작업시 감전방지를 위해 조치할 사항을 3가지 이상 설명하시오
활선작업은 감전위험이 극히 높기 때문에 자가용 시설 등에 있어서의 활선작업은 가능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치밀한 작업계획과 지휘자의 임명
고압이하의 활선작업에 대해서는 작업의 내용에 따라 충전전로의 방호범위, 방호방법, 작업방법, 작업순서 등을 잘 검토하여 작업지휘자를 정하고 작업자에게 이를 철저히 주지시킨다.
2. 활선작업방법
모든 활선작업은 공사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활선공구를 사용하고 정해진 작업순서, 방법을 철저하게 준수하여야 한다.
3. 보호구의 착용과 방호구의 사용
모든 활선작업은 정해진 보호구와 방호구를 충분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작업 책임자는 이들의 적정사용 여부에 대하여 충분한 감시를 하여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절연용 보호구나 방호구는 항시 절연성능을 양호하게 유지관리된 것이어야 한다. 모든 보호구와 방호구는 작업전마다 상태를 점검후 사용해야 한다.
4. 충전선로와 접근한계거리 이상 충분한 이격 유지
고전압으로 되면 충전부분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근접함으로써 후래쉬 오버(Flash Over)가 생긴다. 즉 아아크가 인체로 비화하여 감전이나 화상을 입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고전압의 전기설비에 근접하는 경우는 충분한 안전 거리 확보가 필요하다.
고압활선으로 접근하여 작업할 경우, 인체의 머리부분은 30cm이내, 몸통 측은 60cm 이내로 접근해서 작업해야만 하는 작업시에는 위험이 있으므로 그 충전전로에 절연용 장치를 장착하지 않으면 안된다.
5. 작업 감시자의 배치
활선작업시 충전부와의 충분한 이격거리유지 및 작업공법,순서의 이상유무를 상시감시하는 감시자를 배치한다.
[참고] 신체와 충전전로와의 근접 한계 거리
충전 전로의 사용 전압 | 충전 전로에 대한 접근한계 거리(cm) |
22 (Kv) 이하 | 20 |
22이상 33이하 | 30 |
33이상 66이하 | 50 |
66이상 77이하 | 60 |
77이상 110이하 | 90 |
110이상 154이하 | 120 |
154이상 187이하 | 140 |
187이상 220이하 | 160 |
220이상의 경우 | 200 |
[참고] 5종 유사사고
- 안전장구 불사용
- 위해설비 방치
- 과속운전
- 미검전
- 미접지
Information provider : 건축가 주원태

도시, 주택개발, 건축, 인테리어 설계, 시공 문의 b-studio@hanmail.net 이나 010-9162-6135로 문자 요망 (주)여울 종합건축사사무소와 컨소시엄 작업 수행 중 건 축 & 문화 프로젝트팀 STORY ONE에서 활동 중, (주)아임 종합건설회사에 근무중, 27년 차 건축가 주원태
홍익대학원 도시계획과 석사과정
저서로는 [수인의 건축] [집과 연필, 비례이거나 반비례 거나]등이 있다.
스토리원 홈페이지 주소 --> http://www.story-one.co.kr


'기타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실전문제해설] [문제34] 내연기관의 기본동작과정을 설명하고 발전용으로서의 장단점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5.01.10 |
---|---|
[전기안전기술사 합격하기] [문제67] 불량애자 검출작업 시 유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0점] (2) | 2025.01.09 |
[2025 합격대비] 측량및 지형공간정보기술사 베이직리스트 (1) | 2024.12.09 |
[발송배전기술사 실전문제해설] [문제11] 전기설비의 방폭원리 및 방폭구조에 관하여 설명하라. (3) | 2024.11.24 |
[전기안전기술사 합격하기] [문제68] 활선애자 청소시 안전상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2) | 2024.10.25 |
댓글